1 ] map ( ) 함수
- 반복가능한 객체 (튜플, 리스트 등)의 각 항목에 주어진 함수를 적용한 후 결과반환
2 ] dir( ) 함수 : 객체가 가지고 있는 변수나 함수를 보여줌. 결과를 리스트 형태로 반환
3 ] max( ), min( ) 함수
- 튜플이나 리스트, 문자열에서 가장 큰 항목과 작은 항목 반환
4 ] enumerate( ) 함수
- 시퀀스 객체를 입력받아 열거형 객체를 반환.
- 열거형 객체 요소 : 번호, 번호에 해당하는 값을 갖는 객체
- 열거형이란 : 한정된 값을 가지고 가독성을 높이고 문서화를 하는데 도움을 주는 타입
5 ] filter( ) 함수
- 조건제시 함수를 만들어 그 조건에 해당하는 요소를 추출하고자 할 때 사용.
6 ] zip( ) 함수
- 2개의 리스트를 하나로 묶어주는 함수
- 요소의 개수를 맞추어 데이터 누락방지에 도움됨
지금까지 파이썬의 내장함수 2번째 시간이었습니다.
'파이썬 Phyt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 코딩] 람다식 _ lambda 정의 및 사용방법 (map, filter, reduce 활용) (0) | 2023.07.11 |
---|---|
[파이썬 코딩] 정렬과 탐색 (sort, sorted 함수, 람다식 활용 정렬방법) (0) | 2023.07.11 |
[파이썬 코딩] 내장함수를 이용한 문제 (0) | 2023.07.11 |
[파이썬 코딩] 내장함수 (abs, all, bin, eval, sum, len) (0) | 2023.07.11 |
[파이썬 코딩] 변수, 상수, 자료형 이해하기 (0) | 2023.07.10 |